광고

취업준비·실직자, 행복수준 가장 낮다

매일종교 뉴스1팀 | 기사입력 2018/10/01 [18:59]
경제활동과 사회관계망 없을수록 삶 만족도 낮아져

취업준비·실직자, 행복수준 가장 낮다

경제활동과 사회관계망 없을수록 삶 만족도 낮아져

매일종교 뉴스1팀 | 입력 : 2018/10/01 [18:59]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일을 쉬고 있는 경우 행복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집단에 속한 사람들은 평균 가구소득이 최저 수준이었으며 타 집단보다 부정 정서를 느끼는 정도가 높다.    

1일 통계청이 발간한 'KOSTAT 통계플러스 가을호에 실린 한국행정연구원의 '사회통합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의 6.3%를 차지하는 '쉬었음, 취업 준비' 집단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5.25점(0~10점 척도)으로 가장 낮았다. 삶에 대한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변수는 경제활동 상태인 것임을 나타내주고 있다.     

해당 집단을 연령대별로 보면 19~29세가 39.1%, 60대 이상이 30.9%를 각각 차지해 각 연령대의 평균 비율보다 2배 정도 높았다. 평균 가구소득은 171만원에 그쳤다.    

특히 '쉬었음, 취업 준비' 집단의 경우 타 집단에 비해 부정정서를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준비생'의 경우 부정 정서는 4.2점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 월등히 높다. '쉬었음 및 기타'인 경우도 상대적으로 높은 4.0점을 기록했다.    

반면 '전문·관리직, 사무직, 기타 직업, 학생 및 진학 준비'에 놓인 사람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29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 집단은 남성 비율이 65.0%, 30대 이하의 비율이 62.7%를 차지했다. 대졸 이상이 66.9%를 기록했고 평균 가구소득은 280만원이다.    

'육아 및 가사'가 6.12점, '서비스·판매직, 기능노무직, 농림어업직'이 5.96점을 기록해 그 뒤를 이었다. 육아 및 가사' 집단의 경우 여성이 99.6%를 차지하며 배우자를 둔 경우가 90.6%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가구소득은 219만원이다. '서비스·판매직, 기능노무직, 농림어업직' 집단은 40대 이상이 73.8%에 달해 전체 평균보다 13%p가량 높았다. 읍면부 거주 비율이 높은 데다 평균 가구소득은 245만원을 기록했다.    

'육아 및 가사' 집단을 제외하면 경제활동 상태 다음으로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끼치는 변수는 사회관계망이다. '전문·관리직, 사무직, 기타 직업, 학생 및 진학 준비' 집단에서 대졸 이상이고 사회관계망이 있는 경우 삶에 대한 만족도는 6.46점을 기록했다. 반면 '쉬었음 및 취업 준비' 상태에서 사회관계망이 없을 경우 삶에 대한 만족도는 4.71점으로 매우 낮았다.    

이밖에 '서비스·판매직, 기능노무직, 농림어업직' 집단에서 사회관계망이 없고 이혼한 집단(5.01점), '육아 및 가사'이면서 가구소득이 106만원 미만이고 사회관계망이 없는 경우(5.10점) 등의 경우가 삶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 도배방지 이미지

모바일 상단 구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