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간송미술관 경매 '신라금동' 2점 모두 유찰

이광열 기자 | 기사입력 2020/05/27 [20:53]
시선 집중 부담감에 개인컬렉터나 기업문화재단 나서지 못한듯

간송미술관 경매 '신라금동' 2점 모두 유찰

시선 집중 부담감에 개인컬렉터나 기업문화재단 나서지 못한듯

이광열 기자 | 입력 : 2020/05/27 [20:53]

 

재정난을 겪으며 경매에 붙여졌던 간송미술관의 소장품 금동여래입상’(보물 제284)금동보살입상’(보물 제285)이 모두 유찰됐다.

 

두 불상은 27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케이옥션 본사에서 진행한 케이옥션 5월 경매에 특별출품작으로 나섰다. 근현대미술·고미술품 137점에 대한 경매가 끝나길 기다린 두 불상은 마지막 순서에서 각각 시작가 15억원을 호가하며 출발했으나, 두 점 모두 나서는 응찰자가 없어 바로 유찰됐다.

 

간송미술관이 82년간 품어온 소장품을 경매에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간송 컬렉션이란 상징성 위에 보물이란 특수성까지 얹혀, 두 불상이 얼마에 팔려 어디로 갈 것인가가 뜨거운 관심사였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시선이 집중되는 부담감에 큰손개인컬렉터나 기업문화재단 등이 선뜻 나서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지난주 경매 소식이 처음 전해지자 국가지정문화재이니만큼 국가기관이 사들여 공공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잖았다. 개인이 낙찰받을 경우 두 불상이 어느 집안으로 숨어들 것에 대한 우려도 작용했다. ‘국가기관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과 문화재청이 유력했다. 하지만 국립중앙박물관의 경우 한 해 문화재를 구입할 수 있는 예산은 40억원 선. 두 불상을 사들인다면 그 예산의 75%를 써야 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비용문제로 응찰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난색을 표해 왔다.

 

한편 국립중앙박물관을 후원하는 단체인 국립중앙박물관회가구입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는데 실제 박물관회는 불상 구입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국립중앙박물관은 출품이 취소되고 경합 없이 거래하기를 희망했으나 이날 경매는 예정대로 진행됐다.

 

간송미술관은 사업가 간송 전형필(1906~1962)1938년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 보화각’(1966년 간송미술관으로 개칭)이란 명칭으로 세운 한국 최초의 사립미술관이다. 간송이 타계한 이후에는 간송의 장남 전성우(19342018) 전 간송미술문화재단 이사장과 차남 전영우(80) 간송미술문화재단 이사장, 간송의 장손인 전인건(49) 간송미술관장까지 3대에 걸쳐 간송이 했던 문화재 지킴이역할을 이어왔다. 하지만 누적되는 재정난을 이겨내지 못하고, 2018년 전 전 이사장이 별세한 뒤 발생한 상속세까지 떠안게 되자 이번 보물 불상두 점을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경매에 나섰던 금동여래입상7세기 중반 통일신라시대 불상이다. 높이 38, 큰 키가 비슷한 연대에 제작한 한국 전통 금동불상으로선 드물다. 팔각 연화대좌 위에 정면을 보고 섰으며, 나발(부처 머리털)이 뚜렷한 육계가 높이 솟은 모양이다. 이전 불상보단 근엄한 표정이지만 살짝 오므린 입가에는 은은한 미소를 띄었다. 법의 착의법이 독특해, 오른쪽 옷자락이 살짝 흘러내려 어깨와 가슴을 훤히 드러냈다.

 

금동보살입상6~7세기 신라 불상이다. 높이 19정도의 아담한 크기다. 손을 앞으로 모아 보주를 받들어 올리고, 양옆으로 뻗은 지느러미 같은 옷자락 등이 백제지역에서 크게 유행했던 봉보주보살상, 7세기쯤 조성된 일본 호류사의 구세관음과 유사하다. 하지만 출토된 곳은 경남 거창. 현재까지 신라지역에서 나온 유일한 불상으로, ‘신라-백제-일본세 지역이 서로 영향력을 미친 근거로서의 사료적 가치 역시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

모바일 상단 구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