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조계종의 서의현 승적복원은 원천 무효"

이중목 기자 | 기사입력 2020/12/02 [19:41]
스님과 스님 822명 항의 서원문 ”불법적·반시대적인 폭거“

"조계종의 서의현 승적복원은 원천 무효"

스님과 스님 822명 항의 서원문 ”불법적·반시대적인 폭거“

이중목 기자 | 입력 : 2020/12/02 [19:41]

스님과 신도 822명 항의 서원문 불법적·반시대적인 폭거“ 

 

대한불교조계종 스님과 신도들 822명이 지난 1994년 조계종 사태 때 멸빈된 서의현 전 총무원장의 승적 복원에 항의하는 서원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2'한국불교를 다시 세우기 위한 우리의 서원'이라는 글을 통해 "서의현 승적복원은 불법적이고 반시대적인 폭거로 원천 무효임을 선언한다"고 주장했다.

 

서 전 원장은 지난 1994년 총무원장 3선 연임 시도 속에 발생한 종단 폭력사태 등으로 전국승려대회에서 멸빈이 결의됐지만, 올해 승적 복원 처리와 대종사 후보에 올라 비판을 받는 바 있다.

 

이들은 이번 상황에 대해 "불법적인 갓바위·선본사 직영사찰 해제, 멸빈자 서의현 전 총무원장의 승적복원 및 대종사 등극 등으로 1994년 종단개혁이 완전히 부정당했다""조계종의 종헌종법은 훼손되고 조계종은 세간의 웃음거리가 되어 조롱당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아직 구체적인 실천방안은 없다. 그러나 우리는 저마다 삶터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되새기고 실천하면서 불교가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목소리를 내는 데 노력하겠다고 약속한다""한국불교는 절망이지만, 우리는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절망에서 희망을 만들고자 하고 우리는 성찰과 참회로 시작하겠다. 사회를 깊이 살펴보고 불교에 요구하는 시대정신과 함께해 우리의 삶터에서 새로운 불교를 일구어 나갈 것을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한국불교를 다시 세우기 위한 우리의 서원

 

최근 1994년 조계종단 개혁의 두 가지 상징이 무너졌다.

삼보정재의 유실을 막고, 사방승물 정신을 구현하기 위해 직영사찰로 지정했던 갓바위 선본사가 직영사찰에서 해제되었고, 인적청산의 상징으로 멸빈되었던 서의현 전 총무원장이 승적복원과 함께 대종사로 화려하게 되살아난 것이다. 94년 종단개혁을 계승한 종헌을 부정하고, 대중의 뜻을 저버렸다. 1994년 종단개혁의 조종이 울렸다.

 

우리는 법적 근거가 없는 직영사찰 해제 및 서의현에 대한 승적복원은 불법적이고 반시대적인 폭거로 원천 무효임을 선언한다.

 

종단의 주요 사안은 뒷방에서 특정 소수가 모여 결정하고 있으며, 종책을 생산, 집행하는 책임주체인 총무원은 그들의 요구를 맹목적으로 집행하고 있다. 종도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종책으로 반영해야 할 중앙종회는 그들의 거수기로 전락하여 어떠한 질문과 논의도 없이 일사불란하게 움직일 뿐이다. 그 결과 94년 종단개혁을 통해 이룩한 삼권분립은 허울만 남았을 뿐이다.

 

종단개혁 정신을 무력화시키고 파탄에 이르게 하는 과정에 함께한 이들 중에는 94년 종단개혁의 주체들도, 개혁의 대상이었던 이도 있을 것이다. 스스로 발심하고 원력으로 일어섰던 개혁의 주체들이 공동체를 버리고 오직 자신들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개혁의 대상이었던 이들과 손을 잡았다. 간신히 숨만 쉬고 있던 개혁정신에 마지막 칼을 꽂은 것이다. 이제 이들은 개혁의 주체가 아니라 기득권의 주체, 개혁의 대상으로 전락하였음을 스스로 선언한 것이다.

 

지금까지 일말의 기대와 희망을 가지고, 이들에게 애정 어린 비판과 함께 수많은 요구와 요청, 권고를 해왔다. 그러나 종단과 함께 개혁의 의지도 역사인식도 없이 도리어 개혁의 대상으로 전락한 이들에게 더 이상의 기대와 미련을 버리고자 한다. 그들에게 무엇을 개혁하라고 요구하고 기대하는 일에 우리의 에너지를 헛되이 낭비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제36대 총무원과 제17대 중앙종회, 그리고 뒷방에서 종단을 농락하고 시대역행을 조장하고 있는 이들의 행태를 기록하여 남길 것이다. 코로나19가 창궐하여 중생이 고통 받던 2020년에 누가 어떻게 94년 종단개혁 정신을 무너뜨리는데 함께 했는지 기록하여 이 사실을 우리 후대가 기억하고 심판할 것이다. 과거를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역사가 되도록 할 것이다.

 

한국불교는 벼랑 끝에 서 있다. 한국불교는 절망이지만, 우리는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절망에서 희망을 만들고자 한다.

 

우리는 성찰과 참회로 시작한다.

 

사회를 깊이 살펴보고 불교에 요구하는 시대정신과 함께하며 우리의 삶터에서 새로운 불교를 일구어 나갈 것을 서원한다. 또한, 대중공의에 의한 한국불교를 다시 세우기 위해 한국불교의 무너진 공론장을 복원하는 노력으로부터 그 첫걸음을 시작하고자 한다.

이 희망의 서원을 함께 기억하고 실행해 나가기 위하여 연명하여 남기고자 한다.

 

불기 2564(2020)122

 
  • 도배방지 이미지

모바일 상단 구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