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언론호칭 ‘목사, 신부’ vs ‘스님' -편파보도인가?

이광열 기자 | 기사입력 2010/02/16 [13:39]

언론호칭 ‘목사, 신부’ vs ‘스님' -편파보도인가?

이광열 기자 | 입력 : 2010/02/16 [13:39]

언론호칭 ‘목사, 신부’ vs ‘스님' -편파보도인가? 

‘신의 이름’을 놓고 해외에선 유혈분쟁,

국내선 ‘성직자 존칭’ 논란 불거져 


공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언론에서 ‘신부’와 ‘목사’는 호칭 ‘님’자를 붙이지 않는 반면 유독 ‘스님’에만 ‘님’자를 붙이는 것은 종교적 편파보도일까?

“스님을 승려나 법사(法師)로 호칭하라!”란 기독교계의 주장과 “스님은 수천년 이어온 고유명사다!”라는 불교계의 주장이 맞선 가운데 성직자의 호칭을 놓고 일반인들의 논란이 뜨겁게 달아 올랐다.

‘창조주 신의 이름’을 놓고 최근 말레이시아에서 가톨릭과 이슬람의 유혈분쟁이 생겨나고 개신교와 가톨릭의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본지 10호 특집기사) 또 다시 기독교계와 불교계의 해묵은 ‘성직자 호칭’에 대한 논쟁이 재연되고 있는 것.


엉뚱하게 번지는 ‘경찰의 스님 폭행사건’,

종교무관한 평범한 시민이 중재신청?


지난달 말 언론중재위원회에는 “언론사가 불교 출가 수행자인 승려를 ‘스님’이라고 높여 부른 것은 잘못된 표현이니 이를 바로 잡아달라”는 내용의 언론중재위원회 정정보도 신청이 제기됐다.

신청인 김 모씨는 지난 1월 19일 발생한 ‘경찰 지관 스님(조계종 전 총무원장과 동명이인) 폭행’ 사건을 보도한 19개 언론사를 상대로 “이들 언론사가 종교의 신분인 승려를 ‘스님’이라는 존칭어를 써 보도했는데 이는 적절하지 않은 표현”이라며 정정보도를 요구했다.

김씨는 언론조정 신청서에서 “언론사들이 목사를 ‘목사님’, 대통령을 ‘대통령님’, 장관을 ‘장관님’이라고 보도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면서 유독 특정 종교의 신분에 대해서만 존칭어를 쓰는 것은 명백한 종교적 차별로 적절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경찰과 지관 스님을 둘러싼 폭행 논란의 불똥이 엉뚱한 방향으로 튀게 된 것이다.

이 사건은 술에 취한 의왕경찰서와 경기청 전투경찰대 소속 경찰관 2명이 김포 용화사 주지 지관 스님을 폭행해 얼굴에 일곱 바늘을 꿰매게 한 사건이다.

공교롭게도 지관 스님은 불교계 4대강운하개발사업 저지 특별대책위원장을 맡고 있어 ‘폭행의 배경에 대한 의혹’까지 생겨났으며 조계종은 수원 경기경찰청을 항의 방문하기도 했다. 또한 지관 스님은 방송에 출연해 “장로 대통령 때문인지 MB정부와 불교계 갈등 잦아진다”며 “4대강 사업은 우리의 생명이라고 하는 국민의 식수를 대상으로 하는 엄청난 도박이며 이 정권의 독선과 독단, 소통의 부재”라고 비난했다.

그러나 일반인들에겐 이러한 정치적, 사회적 논란보다는 한 시민이 제기한 ‘스님 호칭’ 문제에 대한 논란이 더 관심을 끌었다. 다음 ‘아고라 토론’ 등에는 격렬한 상호비방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부정적 기사에서나 ‘승려’로 표현

“승려나 법사(法師)로 변경하라”


불교계에서는 일상적으로 불리는 ‘스님'이 언론중재위 결정에 따라 앞으로 언론사에서 사용할 수 없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 주목했다.

언론중재위에 신청서를 낸 김씨가 자신은 ‘종교와 무관한 평범한 시민’으로 “다만 잘못된 호칭을 바로 잡아야겠다는 생각에서 중재 신청을 했다”고 밝혔으나 불교계와 일반인들은 기독교계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며 반기독교적인 독설을 펼쳤다.

기독교계에서는 이미 오랜 전부터 이러한 논의를 언론중재위 등에 제기해 왔다. “목사와 신부는 높여 부르지 않으면서 승려는 왜 스님이라고 높여 부르나”며 ‘편파적 언론보도’의 시정을 요청해 왔던 것. 수년전 언론중재위 게시판에 올린 한 목사의 주장이 이를 그대로 나타내주고 있다.

그는 “ 가톨릭 신자들은 신부를 아버지로 부르기도 한다. 그렇다고 공식적으로 신부를 아버지로 부르지 않는데 그것은 비공식적인 언어이기 때문이다. 스님이란 호칭도 불교인이 호칭하는 것이지 일반인이 사용하는 것은 그 의미가 맞지 않고, 더구나  모든 사람들이 읽는 언론매체에 공식적으로 이 단어를 사용한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부정적 기사에서나 승려란 단어를 사용하는데  표현하고 있는데  이런 차이를 둔다는 자체가 스님이라는 단어에 존경의 의미를 담고 있다”며 엄연한 ‘종교적 편파보도’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대한민국의 모든 언론이 다 불교언론이냐”며 반문하고 ‘승려 혹은 법사(法師)’라고 호칭해야 옳다고 제시했다. 군대에서 3개 종교의 군종장교들을 목사, 신부, 법사로 부르고 있듯이 언론에서도 그같은 호칭을 붙이자는 것.


`호칭 관행`의 오해일 뿐 

‘父’와 ‘師’가 더 극존칭


아고라 토론방에 등장한 대부분의 네티즌들은 ‘스님’의 호칭을 변경하자는데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언론사가 ‘스님’이란 사회 관행으로 굳어진 호칭을 쓴다고 하여 그것이 마치 특정 종교를 두둔하고 다른 특정 종교를 비하하려는 뜻은 아니라는 것이다.

기독교에서 목회자(牧會者)를 호칭하는 ‘목사’ 중 `사(師)`자는 스승으로서 이미 호칭 속에 목회자를 스승으로 모신다는 존경심이 배어 있으며 천주교의 사제(司祭) 즉 ‘신부’의 호칭 중 `부(父)`자는 아버지로서 호칭 속에 `님`자보다 더 강한 존경심과 복종심이 배어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서산대사, 사명대사의 사(師)자도 존경의 의미를 가지기에 굳이 ‘서산대사님’ ‘사명대사님’이라고 님자를 붙이지 않았다는 논리이다. 즉 ‘승려=>스님, 목회자=>목사, 사제=>신부’ 는 모두 똑같이 높여 부르는 칭호라는 것이다.

토론방은 논리적인 의견교환을 떠나 급기야 상대종교에 대한 비하발언이나 인신공격으로 이어졌다. 심지어 크리스마스를 언론에서 ‘성탄절’ 로 표기하니 석탄일도 ‘석탄절’로 하든가 성탄절을 ‘성탄일’로 하라는 등의 주장도 나왔다. ‘이기적’이란 표현도 해 놓았다. 

종교간 논쟁은 대수롭지 않은 단순한 주제를 갖고도 분란을 일으킨다. 말레이시아어의 고유명사인 ‘알라’(하나님)의 사용을 놓고 기독교와 이슬람간의 유혈사태가 벌어지는 것도 그 일례. 또한 성직자 존칭문제를 갖고도 감정적 대립과 함께 종교간 갈등의 골은 더 깊이 패이게 된다.

종교언론인들은 “종교에서 믿음의 진성성에 따른 차이를 없앨 수는 없다” 면서도 “그러나 타 종교와의 차이를 인정하고 타 종교에 대한 폄하대신 배려를 함으로써 하잘 것 없는 문제 때문에 종교간 갈등이나 분쟁으로 번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한다. 즉 ‘육체도 이름도 초월한 창조주’를 놓고 호칭 분쟁을 벌이는 것은 ‘인간의 아집’일 뿐이며 성직자의 존칭논쟁 역시 상대종교에 대한 약간의 이해만 가져도 갈등의 문제로 번지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모바일 상단 구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