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16세기 중엽 희귀 관음보살도, 일본 사찰서 발견

이광열 기자 | 기사입력 2015/11/27 [10:50]
정우택 동국대 박물관장, 동악미술사학회에서 논문발표

16세기 중엽 희귀 관음보살도, 일본 사찰서 발견

정우택 동국대 박물관장, 동악미술사학회에서 논문발표

이광열 기자 | 입력 : 2015/11/27 [10:50]

16세기 중엽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시대 희귀 관음보살도가 일본에서 발견됐다.
 
동국대 박물관장으로 불화 권위자인 정우택 동국대 교수는 “최근 일본 가나가와(神奈川) 현 가마쿠라(鎌倉) 시 사찰에서 매우 희귀한 도상의 선묘 관음보살도를 발견했다”며 “관음보살의 풍만한 얼굴과 윤곽선의 강약, 연꽃의 바림(한쪽을 짙게 색칠한 뒤 갈수록 엷게 칠하는 것) 기법 등으로 미뤄 보아 16세기 중엽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알려진 조선시대 관음보살도는 총 4점. 이 중 연꽃 위에 앉아있는 ‘유희좌(遊戱坐·한쪽 다리를 곧추세운 채 앉아있는 자세) 관음보살’을 묘사한 불화는 이 작품이 유일하다. 통상 고려불화는 반가좌(半跏坐·한쪽 다리는 접고 다른 쪽 다리는 내리는 자세) 관음보살도, 조선불화는 윤왕좌(輪王坐·정면을 향해 무릎을 세우고 한 손을 짚은 자세) 관음보살도가 주류를 이룬다.
 
동국대 박물관장으로 불화 권위자인 정우택 동국대 교수는 “최근 일본 가나가와(神奈川) 현 가마쿠라(鎌倉) 시 사찰에서 매우 희귀한 도상의 선묘 관음보살도를 발견했다”며 “관음보살의 풍만한 얼굴과 윤곽선의 강약, 연꽃의 바림(한쪽을 짙게 색칠한 뒤 갈수록 엷게 칠하는 것) 기법 등으로 미뤄 보아 16세기 중엽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정 교수의 말에 따르면 이와 유사한 도상의 목판화는 충북 단양 구인사 소장본을 비롯해 6, 7개가 있지만 회화 작품으로는 알려진 것이 없다.
 
이번 관음보살도는 가로 119.2cm, 세로 70.9cm의 삼베 위에 그려졌다. 바탕을 붉은색으로 칠한 뒤 금색으로 윤곽선을 세밀하게 그려 넣은 전형적인 선묘불화다. 정 교수는 “이 그림은 중국 도상을 들여와 한국식으로 재해석한 대표 사례”라며 “조선 전기 불화의 다양성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정 교수는 28일 동국대에서 열리는 동악미술사학회에서 이 작품을 다룬 ‘조선 전기 신도상 선묘 관음보살도’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모바일 상단 구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