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트럼프 ‘반이민 행정명령’에도 사우디·이집트는 왜 침묵?

매일종교 뉴스2팀 | 기사입력 2017/01/31 [18:16]
외신, ‘연대감의 결여’와 ‘정책 지속 불확실성’ 해석

트럼프 ‘반이민 행정명령’에도 사우디·이집트는 왜 침묵?

외신, ‘연대감의 결여’와 ‘정책 지속 불확실성’ 해석

매일종교 뉴스2팀 | 입력 : 2017/01/31 [18:16]
▲ 미국 내에서도 트럼프의 반이민 행정명령이 큰 반발을 가고 있는 가운데 정작 이슬람권 종주국이랄 수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집트가 침묵을 지키고 있다.     

사우디-美 공격 극단주의자들 중 가장 많아, 적용 대상국에 핵심 우방 포함돼 딜레마
 
이슬람권 7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한시적으로 금지한 미국 정부의 반이민 행정명령에 유럽 각국과 심지어 미국 내에서조차 비난과 항의가 빗발치고 있지만 정작 이슬람권 중심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집트가 침묵하고 있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수니파 이슬람 종주국이며 메카와 메디나, 양대 이슬람 성지를 품고 있는 사우디의 살만 국왕은 지난 2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했지만, 이번 사태에 관해선 공식 논평을 하지 않고 있다.
 
이슬람 학문의 요람 카이로가 있는 이집트의 압델 파타 엘시시 대통령도 침묵하기는 마찬가지다. 무엇보다 57개 이슬람 회원국을 망라하는 이슬람협력기구(OIC)가 아무런 입장 표명을 하지 않는 사실이 눈길을 끈다.
 
뉴욕타임스(NYT)는 미국의 행정명령 발동에 반발해 보복 조치까지 거론하고 나선 이란, 이라크와 달리 나머지 이슬람 국가들이 침묵을 지키는 이유가 연대감의 결여에 있다고 29일 지적했다. 이와 함께 트럼프의 외교정책 방향에 대한 지속적인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NYT는 이슬람권이 단결하지 못하는 것은 이슬람 세계의 지도자들이 편협한 국익을 좇으면서 전 세계 이슬람 공동체를 의미하는 '움마'에 대해서는 립서비스로 일관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이슬람 세계 지도자들이 국내에서 강력한 정통성을 누리지 못하다 보니 자국민의 분노와 미국 대통령에게서 끌어낼 수 있는 분노 사이에 교묘하게 걸터앉아 있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흥미로운 해석을 내놨다.
 
이슬람권 지도국을 자처해온 사우디가 트럼프 새 정부와 관계 개선을 모색하면서 행정명령에 반발하는 이슬람 국가들을 외면하자 이슬람권의 시선이 곱지 않다고 30일 보도했다. 신문은 그동안 종교적 영향력을 누려온 사우디가 지금 그 영향력 때문에 딜레마에 빠져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의 살만 국왕과 전화 통화에서 중동 난민 문제, 이란 핵 문제, 양국 안보관계 개선방향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은 두 지도자가 시리아와 예멘에 난민을 위한 안전지대를 설치하는 방안에도 협력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밖에 테러리즘과 극단주의 대응 방안, 타국의 내정에 간섭하고 지역 안보와 안정을 해치려는 기도에 대처하는 방안 등에도 합의했다.
 
그러나 미국 안보 컨설팅 업체 수판그룹의 2015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서 테러 공격을 자행한 극단주의자들 가운데 사우디 출신자들이 가장 많았다. 알카에다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도 사우디의 유명 가문 출신이고, 2001년 9.11 테러에 가담한 항공기 납치범 19명 가운데 15명이 사우디 출신이다.
 
사우디 지도자들은 트럼프의 대 이란 강경 노선이 자국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생각에 트럼프의 당선에 환호했다. 이란은 미국의 행정명령 적용 대상 7개국에 포함됐다. 하지만 사우디가 우방으로 간주하는 다른 이슬람 국가들도 명단에 들어갔다.
 
명단에 포함된 수단은 사우디가 대테러 전쟁을 위해 규합한 이슬람동맹 회원국이다. 사우디는 2015년 이란의 지원을 받는 예멘의 후티족 반군을 몰아내고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대통령을 복귀시키기 위해 예멘에 군사적으로 개입했다. 사우디는 또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정부에 맞서 싸우는 시리아 반군의핵심 지원국이기도 하다.
 
카타르 도학대학원의 이브라힘 프라이하트 교수는 WSJ 인터뷰에서 미국의 행정명령 발동으로 "사우디가 난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말했다. 사우디가 이슬람 지도국을 자처하고 있고 행정명령 적용 대상국에 수단과 예멘처럼 사우디의 핵심 우방이 포함돼 있어서 사우디가 반대 입장을 취해주길 기대하는 시선이 있다는 것이다. 신문은 이에 관한 사우디 외교부의 논평을 요청했으나 답변을 듣지 못했다고 밝혔다.
 
사진 미국 내에서도 트럼프의 반이민 행정명령이 큰 반발을 가고 있는 가운데 정작 이슬람권 종주국이랄 수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집트가 침묵을 지키고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

모바일 상단 구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