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중고령 1인가구, 삶 만족도 낮다...배우자 사별,건강 악화,빈곤 등 요인

이중목 기자 | 기사입력 2022/07/15 [07:32]
홍성표·임한려 교수 연구 “사회적 교류 적어…자아존중감 지원 필요"

중고령 1인가구, 삶 만족도 낮다...배우자 사별,건강 악화,빈곤 등 요인

홍성표·임한려 교수 연구 “사회적 교류 적어…자아존중감 지원 필요"

이중목 기자 | 입력 : 2022/07/15 [07:32]

홍성표·임한려 교수 연구 사회적 교류 적어자아존중감 지원 필요"

 

혼자 사는 중고령자가 가족과 같이 사는 중고령자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고 중장년이 노년층(65세 이상)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홍성표 가톨릭대 조교수와 임한려 서울대 연구교수는 학술지 '보건사회연구' 최근호에 게재한 '중고령자 1인가구 삶의 만족도 변화 및 영향요인 분석'에서 이러한 결과를 내놓았다.

 

연구진은 만 40세 이상 중고령자 중 1인가구 표본 1378명과 2인 이상 다인가구 표본 6382명을 대상으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삶의 만족도 변화를 살펴봤다.

 

중고령자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 지수는 20173.4220183.4420193.4320203.36으로 하락 추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다인가구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는 3.613.603.603.56으로 1인가구보다는 높았지만 역시 하락 추세가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연령이 높아지면서 배우자와 사별, 사회적 활동 감소, 건강 악화, 노인빈곤율 증가 등 상황에 놓이는 중고령층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특히 1인가구는 가족과 관계적 네트워크가 취약해 가족과 함께 살며 다양한 교류를 하는 다인가구보다 삶의 만족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소득, 중장년(4064) 여부, 자아존중감, 우울감이 있다. 이 요인들은 1인가구, 다인가구 모두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 가운데 소득은 높을수록 초기 삶의 만족도가 높아졌지만,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령자 1인가구의 평균 소득은 1368만원이다.

 

성별에서는 1인가구에서 여성의 비율(79.1%)이 남성(20.9%)보다 훨씬 높았지만, 삶의 만족도 수준은 여성보다 남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인가구도 남성이 여성보다 삶의 만족도 수준이 낮았다.

 

자아존중감은 1인가구, 다인가구 중고령자 모두의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자아존중감은 초기 삶의 만족도는 물론 시간에 따른 변화에도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경제상황 등 외부적 요인들도 중고령층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심리적인 자원의 영향력도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우울은 1인가구와 다인가구 중고령층 모두에게 초기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떨어진 것이다. 그러나 시간에 따른 만족도 변화에는 영향이 없었다.

 

중고령자 중 중장년이 노년층(65세 이상)보다 삶의 만족도 수준이 낮았다. 특히 1인가구는 다인가구에 비해 중장년 여부가 초기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더 크게 미쳤다. 이는 노년층뿐 아니라 중장년 1인가구에도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자원봉사, 근로활동은 중고령자 다인가구에는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1인가구에는 특별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중고령자 1인가구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일자리, 대학 진학 등을 위해 1인가구가 된 청년층과 사별·이혼 등 배우자와 단절이나 실업 등으로 1인가구가 된 중고령층은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삶의 문제도 다르다"라며 중고령자 1인가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중고령자 1인가구의 경우 근로활동, 자원봉사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에 비춰 일자리·사회 참여 지원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자아존중감이나 심리적 회복을 위한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모바일 상단 구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