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고연령·저소득층, 다문화에 부정적 태도

이광열 기자 | 기사입력 2016/03/14 [22:42]
여가부 수용성 조사, 많이 개선됐으나 선진국엔 못미쳐

고연령·저소득층, 다문화에 부정적 태도

여가부 수용성 조사, 많이 개선됐으나 선진국엔 못미쳐

이광열 기자 | 입력 : 2016/03/14 [22:42]

다문화와 이주민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이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선진국과 격차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고연령·저소득층일수록 다문화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여 이들을 위한 인식 개선 교육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지난해 9∼11월 전국 19∼74세 성인 4천 명과 청소년(중·고교 재학생) 3천6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 결과, 성인의 다문화 수용성 지수는 100점 만점에 53.95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조사 기간이었던 2011년(51.17점)보다 2.78점 상승한 수치이다.
 
다문화 수용성 지수는 문화개방성·고정관념 및 차별·세계시민행동 등 8개 구성요소별 점수를 종합해 산출했다. 4년 전과 비교해보면 이주민을 거부·회피하는 정서나 고정관념은 약해진 반면 일방적 동화에 대한 기대는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주요 선진국에 비해 다문화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비율은 여전히 높았다.
 
'외국인 노동자와 이민자를 이웃으로 삼고 싶지 않다'는 응답은 31.8%로 미국(13.7%)과 호주(10.6%)보다 약 2.5배, 스웨덴(3.5%)보다는 10배가 많았다. '일자리가 귀할 때 자국민을 우선 고용해야 한다'는 비율 역시 60.4%로 미국(50.5%), 독일(41.5%), 호주(51.0%)보다 크게 높았다.
 
앞서 2010∼2014년 59개국이 참여한 6차 '세계 가치관 조사(World Values Survey)'에서도 다른 인종에 대한 수용성 항목의 경우 한국이 51위에 그쳤다.
 
연령대별 수용성 지수를 살펴보면 청소년은 67.63점으로 조사 대상 가운데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이어 20대 57.50점, 30대 56.75점, 40대 54.42점, 50대 51.47점, 60대 이상 48.77점이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문화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한편, 다문화 교육을 지속해서 받거나 관련 활동에 참여한 경우 수용성 지수가 높았다. 이주민과 접촉이 많고 해외 거주 경험이 있는 경우에도 다문화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학력과 소득 수준은 다문화 수용성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졸 이하, 월 소득 200만 원 미만 계층은 수용성 지수가 평균을 밑돌아 이들을 위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단순노무(51.22점)와 농림어업(51.83점) 등 이주민이 다수 진출해 있는 업종의 종사자도 다문화에 부정적이었다. 취업 경쟁 등 현실적인 이해관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여가부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연구를 의뢰해 ㈜한국갤럽이 대상자를 방문 면접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여가부는 3년마다 수용성 지수를 발표하고, 정책 효과를 분석할 예정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모바일 상단 구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