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비거니즘 확산과 식품산업의 변화와 기회

문윤횽 대기자 | 기사입력 2022/01/06 [08:46]
콜라·김치까지…MZ세대 사로잡는 비거니즘 식탁

비거니즘 확산과 식품산업의 변화와 기회

콜라·김치까지…MZ세대 사로잡는 비거니즘 식탁

문윤횽 대기자 | 입력 : 2022/01/06 [08:46]

콜라·김치까지MZ세대 사로잡는 비거니즘 식탁 

 

어떤 신념은 정체된 산업의 새로운 기회가 된다. 최근 유행처럼 번지는 비거니즘’(채식주의)을 두고 하는 말이다. 종교 등 개인적인 신념으로 소수의 취향이었던 채식주의가 식품산업 전면에 등장하고 있다. MZ세대를 중심한 가치소비’, ‘신념소비열풍의 영향이다. 아직은 무주공산(無主空山)인 이곳에 누가 가장 먼저 깃발을 꽂을까.

 

동물을 착취해서 생산되는 모든 제품과 서비스를 거부해야 한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동물권을 옹호하며 종 차별에 반대하는 사상과 철학을 비거니즘(Veganism)이라 하고, 비거니즘을 지지하며 실천하는 사람을 비건(Vegan)이라 한다. 동물성 식품이나 제품 활용이 보편화된 사회에서 완전한 비건이 되기는 어려우므로 비거니즘과 함께 비건 지향이라는 말이 널리 쓰인다. 비건은 다양한 종류의 채식 중 유제품과 달걀을 포함해 모든 동물성 식품을 먹지 않는 채식주의자의 한 유형을 가리키기도 한다.

 

비거니즘의 기원과 역사

 

비건이라는 용어는 최초의 비건운동가이자 영국협회 비건소사이어티(The Vegan Society)를 설립한 도날드 왓슨(Donald Watson)이 처음 고안하여 사용했다. 영국 채식주의자 협회의 일원이었던 그는 유제품과 달걀도 먹지 않는 채식주의자를 위해 협회 소식지 지면을 할애해달라고 요구했다가 거절당했다. 이 사건이 계기가 되어 도날드 왓슨은 1944년 비건 소사이어티를 설립하고 비건 뉴스 The Vegan News’를 창간했다. 그에 따르면 비건은 채식주의자를 뜻하는 ‘vegetarian’의 첫 부분과 끝 부분 철자를 결합한 것으로, 채식주의자가 채식을 시작해 궁극적으로 비건에 도달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비거니즘이라는 용어는 1951년 비건소사이어티가 정의했으며, 인간이 살아가면서 동물을 착취하지 않아야 한다는 신조(信條)를 뜻한다고 밝혔다.

 

비거니즘은 윤리적 비거니즘, 환경적 비거니즘과 페미니스트 비거니즘으로 구분해 

 

비거니즘은 사상이 형성되는 배경에 따라 윤리적 비거니즘과 환경적 비거니즘, 페미니스트 비거니즘으로 구분한다. 윤리적 비거니즘은 인간이 동물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쾌고감수능력(快苦感受能力·sentience, 쾌락과 고통을 느낄 수 있는 능력)과 감정을 가진 동물에게 고통을 가하는 현실에 주목한다. 이를테면 공장식 축산 농장에서 동물은 비좁고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밀집 사육되며, 더 이상 이용가치가 없거나 전염병에 걸린 경우 즉시 도축 혹은 살처분된다. 윤리적 비거니즘은 인간이 공간, 물건, 서비스 등을 얻는 과정에서 농장 동물뿐 아니라 수많은 야생동물이 희생되는 데 문제의식을 두고 있다. 동물이 인간으로 인해 겪는 고통을 최소화하고 동물에게도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환경적 비거니즘은 인간의 과도한 육식과 자원 낭비가 불러일으키는 지구 환경 파괴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환경 보호를 위해 식생활뿐 아니라 일상생활 전반에서 절약을 강조한다. 가령 2019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선 전세계 가축 700억 마리가 배출하는 온실가스가 지구 전체 온실가스의 14.5%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육식의 종말(Beyond Beef)(1992)을 쓴 제러미 리프킨(Jeremy Rifkin)은 전세계 토지의 1/4이 소를 사육하는 데 사용되며 목축지나 가축 사료 생산 농지를 마련하기 위해 숲이 심각하게 파괴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페미니스트 비거니즘은 페미니즘 사유를 바탕으로 인간의 동물 억압 문제를 성찰한다. 미국의 페미니스트 철학자 카렌 워렌(Karen J. Warren)은 남성의 여성 억압과 인간의 자연 억압이 역사적으로 연관이 깊다고 보았다. 페미니즘은 인간, 남성, 이성, 정신, 문명을 우월한 것으로, 동물, 여성, 감정, 육체, 자연을 열등한 것으로 평가해온 가부장적 이분법을 비판해 왔기 때문에 인간이 동물과 자연을 억압해 온 역사를 분석하는 데 도움을 준다. 페미니스트 비거니즘은 성() 차별주의에 반대하는 것에서 나아가 종() 차별주의를 반대하며, 종 평등 실현을 추구한다.

 

비거니즘의 실천, 국내 채식인구 15만명서 250만명으로영토 확장 나선 식품업계

 

비거니즘의 실천은 의식주를 비롯해 일상의 모든 영역에 적용된다. 먼저 비건이 거부하는 제품으로는 고기·생선·달걀·유제품·꿀 등 동물성 재료를 사용한 음식에 들어가는 식재료를 포함함한 식품이다. 이러한 트렌드에 발맞춰 국내 식품업계도 다양한 비건 제품들을 내놓으면서 무주공산인 이 분야의 영토 확장에 나섰다,

 

1221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최근 식물성 식품 브랜드 플랜테이블을 론칭한 CJ제일제당을 끝으로 농심, 풀무원 등 국내 굵직한 식품회사들은 전부 비건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 한국채식비건협회에 따르면 국내 채식인구는 200815만명에서 2021250만명으로 급증했다. 시장조사업체 유니브다코스마켓인사이트에 따르면 전세계 비건 시장도 202028조원에서 202542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건을 내세운 식품회사들이 경쟁할 무대가 점점 커지고 있다는 뜻이다.

 

CJ제일제당은 가장 자신 있는 글로벌 인기상품 비비고 만두에 채식주의를 접목했다. 100% 식물성 원료만 사용한 만두로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겠다는 포부로 국내와 호주, 싱가포르에 첫선을 보였다. 콩의 향을 잡기 위해 자체 개발한 조미료 테이스트엔리치를 썼으며, ‘비비고 플랜테이블 김치에 들어가는 김치는 젓갈 없이 담갔다고 한다. 

▲ 비건사업에 가장 진심으로 보이는 곳은 ‘두부명가’ 풀무원으로 2021년초 식물성 단백질을 전담하는 부서(PPM)까지 설치하고 연구개발에 뛰어들었다. 사진은 잇다라 선보이는 식물성 단백질 식품.  


비건사업에 가장 진심으로 보이는 곳은 두부명가풀무원이다. 2021년초 식물성 단백질을 전담하는 부서(PPM)까지 설치하고 연구개발에 뛰어들었다. 최근 성과가 바로 식물성조직단백(TVP) 소재를 가공해 개발한 식물성 직화불고기 덮밥소스. 숯불 직화 공정을 더해 불향을 살렸으며 양조간장과 레몬, 라임, 파인애플로 산뜻한 맛을 더했다. 2021년 하반기에는 미국 현지법인인 풀무원USA를 통해 미국 레스토랑 체인 와바그릴’ 200여곳에 자체 상품을 입점시켰고, 미국 최대 학교급식 서비스인 매사추세츠대 다이닝과 파트너십도 체결하는 등 글로벌 사업에도 적극적이다.

 

인공적으로 만든 고기를 뜻하는 대체육개발도 활발하다. 2021년 초 대체육 브랜드 베지가든을 선보인 농심은 20224월 잠실 롯데월드몰에 베지가든 레스토랑을 오픈한다. 자체 개발한 공법인 고수분 대체육 제조기술’(HMMA)로 고기의 맛과 식감, 육즙까지 구현했다는 설명이다. 애피타이저부터 디저트까지 총 20여개 메뉴를 준비하고 있다. 신세계푸드도 20217베러미트라는 브랜드를 통해 대체육 시장에 진출한 바 있으며 첫 제품으로 콜드컷’(슬라이스햄)을 출시하기도 했다. 이 고기를 넣은 샌드위치는 현재 스타벅스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그밖에 롯데제과는 식물성 소재만 사용한 빵 브랜드 브이 브레드를 선보였으며, 오뚜기는 채식라면 채황’, 채식 볶음밥 그린가든 카레볶음밥을 출시했다. 현대백화점 계열 종합식품기업 현대그린푸드는 최근 북미 비건 치즈 점유율 1위인 캐나다의 비건 식품 기업 데이야와 국내 독점 판매·유통 계약을 맺고 도전장을 내밀었다.

 

식품유통가도 비건 바람이 불고 있다. 이마트는 202112월부터 일부 축산매장에서 스타트업 지구인컴퍼니의 대체육 상품인 언리미트를 팔기로 했다. 대체육도 하나의 육류로 인정하고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보장한다는 취지다. 식물성 재료만 사용한 상품을 모은 채식주의존(Zone)’도 운영하고 있다. 2020820곳에서 202133곳으로 확대됐다고 한다. 편의점 CU는 콩에서 추출한 단백질의 원료로 참치의 맛을 구현한 삼각김밥 채식마요를 지난달 출시했다. 여기에 곁들이는 콜라는 폴란드에서 직수입한 비건콜라. 비건콜라는 커피콩에서 얻은 카페인으로 맛을 냈으며 생선의 젤라틴이나 꿀 등 동물성 원료가 하나도 들어가지 않았다. GS리테일은 비건식만 전문적으로 다루는 가치소비 온라인몰 달리살다를 론칭했고, 세븐일레븐은 콩·두부·양파 등으로만 구성된 채식 간편식 그레인 시리즈를 내놓았다.

 

아직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시장조사업체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202111월 국내 19~60세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채식 식습관 및 채식주의 관련 인식 조사에서는 여전히 비건상품에 대한 편견과 거부감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왠지 비건식품은 맛이 없을 것 같다고 응답한 사람이 전체 41.5%(복수응답)나 됐으며, ‘충분한 영양소를 공급해 주지 못할 것 같다는 대답도 42.7%나 됐다. ‘비건 식품이라면 가격이 비싸도 지불할 의향이 있다는 소비자는 전체 11.6%에 불과한 반면 비건 식당의 메뉴는 육식 위주 식당보다 저렴해질 필요가 있다는 답은 65.7%에 달했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정체돼 있던 식품산업에 비거니즘은 분명 커다란 기회이지만 아직 시장이 성숙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면서 맛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소비자의 편견을 없애는 동시에 상품의 가격도 저렴하게 내놓아야 하는 이중적인 과제를 슬기롭게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식품업계를 넘어 동물복지,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등 전반으로 비거니즘 확산

 

비거니즘의 실천은 의식주를 비롯해 일상의 모든 영역에 적용된다. 비건이 거부하는 제품으로는 고기·생선·달걀·유제품·꿀 등 동물성 재료를 사용한 음식, 동물의 털·깃털·가죽을 사용한 의류 및 생활용품,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거나 동물 실험을 시행한 화장품·목욕용품·세제류 등이 있다. 또한 낚시·사냥·승마 등 동물을 착취하는 스포츠를 비롯해 동물을 이용한 서커스, 전시·체험 등의 문화생활을 반대한다. 또한 환경 보호를 위해 일회용품 사용과 과소비를 줄이는 등 윤리적 소비를 실천하기도 한다.

 

이제 비거니즘은 식품업계를 넘어 동물복지,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등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 ‘랄프라는 이름의 화장품 실험용 토끼가 주인공인 영상이 SNS를 통해 총 15000만건 이상의 조회 수와 74000만개의 틱톡 태그를 기록하며 세계인들의 마음을 울렸다. 심지어 멕시코에서는 랄프영상이 나온 지 5개월만인 지난해 9월에 130만 명의 청원이 이어진 끝에 동물실험을 금지하는 보건법개정이 상원의 만장일치로 통과되는 일이 벌어졌다.    

 

영화 랄프 구하기(Save Ralph)’는 화장품 실험에 이용되는 토끼가 주인공인 스톱모션(물체를 조금씩 움직이면서 연속 동작을 연출하는 기법) 방식으로 제작된 단편영화다. 국제 동물보호단체 휴메인 소사이어티 인터내셔널(HSI)’이 할리우드 감독, 배우와 함께 화장품 동물실험 반대를 위해 만든 불과 354초짜리 이 숏폼 영화는 202147일 유튜브를 비롯한 SNS에 공개되자마자 전세계 비건들의 지지를 받은 것은 물론이고 세계인들에게 동물실험 반대의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했다. ‘화장품 동물실험 금지에 대해 전 세계에서 500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청원에 서명하는 행동을 보여준 것이 그 증거다.  

 

SNS에서만 공개된 이 영상에 수많은 사람이 공감을 표하는 현상에는 비거니즘이라는 거스를 수 없는 트렌드가 있다. 원래 달걀과 우유도 먹지 않는 완전한 채식주의를 뜻하지만, 최근의 확장된 의미는 먹는 방식 그 이상의 생태적 라이프 스타일이나 생태적 철학을 의미한다.   채식은 기본이고 동물실험을 하지 않는 제품을 사용하고, 동물성 재료나 환경공해를 일으키는 재료를 이용한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등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사려 깊게 행동하는 사람들을 포괄한다. 확장된 비건의 가치는 채식과 동물복지, 친환경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비거니즘이 마케팅과 브랜딩의 새로운 화두가 된 것은 코로나19(COVID-19)의 등장과 무관하지 않다.  

 

코로나의 등장은 많은 부분에서 인류에게 생태적 재앙의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사실인 것 같다. 실제 광고회사 대홍기획이 발표한 데이터로 읽는 비거니즘의 맥락보고서를 보면, 비거니즘에 대한 소셜 언급량은 2019년말 이후 급증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건강과 안전, 행복에 대한 근본적 욕구가 영향을 미친 것이다. 환경과 생태적 가치를 중시하는 MZ세대를 중심으로 자기 자신의 건강뿐 아니라 환경과 동물복지의 윤리적 차원에서 비건에 동참하는 인구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비거니즘은 이제 더 이상 소수의 하위문화가 아닌, 시대의 거스를 수 없는 주류 문화가 되고 있다.   

▲ 수암(守岩) 문윤홍 大記者/칼럼니스트  



 

  • 도배방지 이미지

守岩 칼럼 많이 본 기사
모바일 상단 구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