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고독사 위험군’ 서울에만 5만 2천명…추가 조사로 증가 전망

이광열 기자 | 기사입력 2023/07/11 [12:52]
‘사회적 고립 위험 1인가구 실태조사’…고독사 절반이 5060 남성

‘고독사 위험군’ 서울에만 5만 2천명…추가 조사로 증가 전망

‘사회적 고립 위험 1인가구 실태조사’…고독사 절반이 5060 남성

이광열 기자 | 입력 : 2023/07/11 [12:52]

▲ 정부가 '제1차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2023∼2027년)'을 발표한 지난 5월 18일 서울 영등포구 쪽방촌 각방 문 앞에 신발이 한 켤레씩만 놓여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의 고독사 위험군이 52천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사회적 고립 위험 1인가구 실태조사를 실시해 고독사 위험 23,280가구를 추가 발굴했다고 밝혔다. 앞서 2021년 실시한 조사에서 고독사 위험군으로 발견된 숫자(29,438가구)와 합치면 모두 52,718가구다.

 

고시원과 임대주택 등 주거 취약계층 8만 가구를 2년 동안 직접 방문해 조사한 결과다. 올 하반기 6만 가구를 추가 조사할 예정이어서 위험군은 훨씬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80대 이상(16.6%) 고령층보다 50, 60(55.5%)의 고독사 위험이 더욱 크다는 조사 결과도 주목된다. 이들은 아플 때 돌봐줄 사람이 없고’(71.9%), ‘우울할 때 대화 나눌 사람이 마땅치 않은’(49.3%) 경우가 많았다. 심지어 ‘1주일간 타인과 소통 횟수가 1회 이하’(33.5%)인 사람도 상당수였다.

 

 


지난해 12월 정부가 처음 발표한 고독사 실태조사도 결과는 비슷했다. 고독사로 인한 사망자 수는 2017~20212412명에서 3378명으로 늘었는데, 이 중 52.1%50, 60대 남성이었다. 남성의 고독사는 여성보다 5.3배 높고, 격차는 계속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독사가 50, 60대 남성에게 집중된 이유를 실직에 따른 경제적 고통, 불규칙한 식습관과 미흡한 건강관리, 스스로 포기하는 자기 방임 등으로 꼽았다. 쪽방처럼 열악한 환경에 살다 극단의 선택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고독사의 상당수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 2021년 고독사 사망자 중 기초수급자는 38.5%뿐이었고, 나머지는 제도권 밖에서 홀로 죽음을 맞이했다. 공과금 체납 등 위기 징후를 발견하지 못한 고독사도 35%나 됐다. 실제로 지난달 서울 광진구에서 시체로 발견된 50대 남성은 7개월째 전기료를 납부하지 못했다. 위기 발굴 시스템에 따르면 3개월 이상 체납 시 한국전력이 보건복지부에 통보하고, 지자체가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이 남성은 사망 석 달 만에 주변인의 신고로 발견됐다.

 

시는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기초수급(기초생활보장법, 법정 차상위 등), 긴급복지(국가형 긴급복지, 서울형 긴급복지), 돌봄 SOS 센터 서비스 연계(가정방문 등) 등 맞춤형 복지서비스 42,317건이 신규나 추가로 지원됐다고 설명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모바일 상단 구글 배너